통쾌질환

031-997-7533

  • 진료시간
  • 통쾌블로그

척추질환

Home 통쾌질환 척추질환

허리디스크

  • 척추뼈 사이에서 스펀지처럼 완충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디스크가 각가지 다양한 원인에 의해 파열되거나 밀려나와 신경근, 척수 경막을 압박해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대개 퇴행성 변화가 시작되는 20대 초반~30대에게 자주 나타나며 고령층에겐 드물게 나타납니다. 즉, 젊은분들에게 나타나는 허리통증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허리디스크의 원인

  • 일상생활 중 허리에 무리가 가는 자세를 자주 취하는 경우
  • 무거운 짐을 옮기거나 들 때 허리에 지나친 압력이 가해진 경우
  • 외부에서 오는 심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
  • 노화로 인한 디스크의 퇴행성 변화

허리디스크의 증상

  • 허리통증이 나타난다.
  • 허벅지, 종아리, 발끝에서 저리거나 당기는 등의 통증이 나타난다.
  • 누워서 다리를 곧게 편 뒤 들어올리기 힘들다.
  • 허리를 숙일 때 통증이 느껴진다.
  • 오래 앉아 있으면 허리통증이 나타난다.
  • 하반신 힘이 빠지기 시작했다.
  • 기침이나 재채기를 하면 허리통증이 심해진다.

척추관협착증

  • 척추로부터 나오는 신경 통로 척추관이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좁아져 생기는 질환으로 대개 퇴행성 변화로 발생합니다.

척추관협착증의 원인

  • 노화로 인한 척추의 퇴행성 변화
  • 디스크 수술 후 유착
  • 척추에 무리가 가는 잘못된 생활 습관이나 자세
  • 강한 외상이 척추에 가해진 경우
  • 척추관이 선천적으로 좁은 경우

척추관협착증의 증상

  •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터질 것처럼 아프다.
  • 보행 시 통증이 나타나 휴식을 취하면 금세 통증이 가라앉는다.
  •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통증이 줄고 뒤로 젖히면 통증이 커진다.
  • 밤이 되면 특히 종아리가 아프다.
  • 누워서 다리를 곧게 펴는데 문제가 없다.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의 차이점

  • 이 두 가지 질환은 엄연히 다른 질환이지만 증상이 비슷해 오인하기 쉬운 질환이기도 합니다.

    두 가지 질환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어 반드시 전문의의 정확한 검진이 필요합니다.허리디스크는 주로 젊은 층에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척추관협착증의 경우 퇴행성 변화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50대 이후의 연령층에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허리디스크의 경우 다리에 지속적으로 통증이 나타나지만 척추관협착증은 보행 시에만 다리 통증이 나타난다는 차이를 보입니다. 두 가지 질환을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누워서 다리를 들어 올리는 것입니다. 허리디스크의 경우 누워서 다리를 들어 올릴 때 불편함이 느껴지지만 척추관협착증의 경우 다리를 들어 올리는 데 아무런 불편함이 없습니다.

퇴행성 요추 후만증

  • 퇴행성 요추 후만증은 척추가 정상 곡선을 이루지 못하고 반대 모양을 하고 있어 등이 구부정해지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는 노년기나 폐경기를 겪고 있는 40~60대 동양 여성에게 많이 발생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퇴행성 요추 후만증의 원인

  • 장시간 동안 쪼그려 앉아있는 시간이 긴 경우
  •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

퇴행성 요추 후만증의 증상

  • 심한 피로감으로 장시간 보행이 힘들다
  • 가슴을 앞쪽으로 내밀고 어깨를 뒤로 젖힌다.
  • 무거운 물건을 잘 못 든다.
  • 오르막길이나 계단 오르기가 힘들다.

척추측만증

  • 척추측만증이란 척추 자체에 문제가 있거나 다른 외부적인 원인으로 인해 옆으로 휘어진 증상을 말합니다. 이는 잘못된 자세나 생활 습관으로 발생하는 기능성 척추측만증과 선천적으로 척추에 있는 문제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구조성 척추측만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척추측만증의 원인

  • 의자에 앉는 자세나 생활 습관이 바르지 않은 경우
  • 다리 길이가 다른 경우
  • 고관절이 굳은 경우
  • 허리디스크가 있는 경우
  • 척추에 양성 종양이 있는 경우
  • 선천적으로 척추에 문제가 있는 경우
  • 신경 섬유종, 뇌성마비, 소아마비, 척수 신경손상, 신경성 척추측만증, 근육이영양증 등의 질환이 있는 경우

척추측만증의 증상

  • 앉아 있거나 서 있을 때 양쪽 어깨나 골반 높이가 다르다.
  • 허리를 앞으로 굽혔을 때 양쪽 등 높이가 다르다.
  • 양쪽 가슴의 크기가 다르다.
  • 한쪽 어깨뼈가 유난히 튀어나와 있다.
  • 걸음걸이가 비정상적이다.

후관절증후군

  • 후관절은 척추 뒤에 있는 뼈들을 연결해주는 관절로 여타 다른 관절과 마찬가지로 건강한 연골들이 충분히 감싸줘야 허리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 디스크처럼 자주 쓰면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 서서히 퇴화하게 됩니다. 후관절증후군은 쉽게 말해 위에서 설명 드린 후관절에 무리가 가해지거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50대 이상 연령층에게 발병됐지만 최근에는 생활 습관과 바르지 못한 자세로 인해 젊은 연령층에게도 자주 발병하고 있습니다.

후관절증후군의 원인

  • 퇴행성 변화
  • 척추에 무리가 가해지는 생활습관과 자세
  • 과한 레저 스포츠 활동

후관절증후군의 증상

  • 허리와 골반에서 쑤시는 것 같은 통증이 느껴진다.
  • 대퇴부 뒤가 당기는 것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 허리와 함께 목까지 아프다.
  • 앉았다 일어날 때, 저녁보다 아침에 허리가 더 아프고 통증이 심해진다.

전방전위증

  •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척추 뼈가 앞쪽으로 이동해 허리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는 신경들이 지나가는 통로를 좁아지게 만들어 다리 저림과 퇴행성 변화를 가속화하고 디스크의 높이를 줄어들게 만듭니다. 이외에도 척추 뒤에 있는 관절 역시 퇴행성 변화를 가속화하게 만들어 관절을 어긋나게 만들기도 합니다.

전방전위증의 원인

  • 강한 외부 충격으로 척추 관절 돌기가 골절된 경우
  • 노화로 인한 디스크와 관절 퇴행성 변화
  • 척추 수술 후 합병증 및 후유증
  • 선천적으로 척추 관절 발육이 부진한 경우
  • 척추 악성 종양으로 척추 뼈가 약해진 경우

전방전위증의 증상

  • 허리통증이 나타난다.
  • 장시간 보행 시 다리가 저리거나 쑤신다.
  • 다리 신경이 조이는 느낌이 든다.
  • 앉아있을 땐 아무 이상이 없다가 걷기만 하면 통증이 나타난다.
  • 쪼그리고 앉으면 증상이 사라진다.
  • 다리 마비 증상이 보이며 보행이 힘들어진다.

목디스크

  • 목디스크란 목을 이루고 있는 척추 중 하나인 경추의 뼈와 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제 자리를 벗어나거나 파열되어 경추 신경을 자극 또는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목디스크의 원인

  • 강한 외부적 충격으로 인한 디스크 손상
  • 경추 디스크의 퇴행성 변화
  •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
  • 한 쪽으로만 물건을 드는 경우
  • 잘못된 자세를 장시간 반복하는 경우
  • 목에 힘이 많이 들어가는 운동을 하는 경우
  • 몸에 맞지 않는 베개를 사용한 경우

목디스크의 증상

  • 목에서 나타나는 통증과 함께 어깨, 팔, 손 전체에 통증이 느껴진다.
  • 팔에 힘이 빠지면서 감각이 둔해진다.
  • 두통이나 현기증, 어지럼증, 이명이 발생한다.
  • 가슴이 답답하다.

일자목증후군(거북목)

  • 일자목증후군(거북목)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C자형태로 이뤄져 있어야 할 경추가 일자 형태로 변형된 상태를 말합니다.

일자목증후군(거북목) 원인

  • 몸에 맞지 않는 베개를 사용한 경우
  •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
  • 구부정한 자세를 장시간 반복하는 경우
  • 발목이 안쪽으로 꺾였거나 평발인 경우
  • 신문이나 책을 바닥에 두고 보는 습관이 있는 경우
  • 강한 외부적 충격을 받은 경우

일자목증후군(거북목) 증상

  • 초기엔 별다른 통증을 느껴지지 않는다.
  • 목이 갑자기 뻣뻣해지고 어깨통증이 나타난다.
  • 두통이나 현기증, 어지럼증, 이명이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