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질환
Home
통쾌질환
관절질환
오십견
- 오십견은 유착성 관절낭염을 뜻하는 동결견이라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50세를 전후로 나타나 이 같은 병명으로 불리게 됐으며 특별한 원인이 없는 경우 특발성 동결견과 다른 원인에 의해 생기는 이차성 동결견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오십견 원인
- 당뇨병, 갑상선 질환, 경추 질환, 흉곽 내 질환, 외상 등을 입은 경우
- 어깨관절 주변에서 발생한 외상이나 염증이 있는 경우
- 전신적 대사성 질환이 있는 경우
오십견 증상
- 밤이 되면 통증이 더 심해진다.
- 어깨를 움직이기 힘들다.
- 어깨부터 팔, 손까지 통증이 느껴진다.
- 앞, 뒤, 옆 등 모든 방향으로 어깨를 움직이기 힘들다.
- 세수나 머리를 감을 때 뒷목을 만지기 힘들다.
- 머리 빗기가 힘들다.
- 블라우스 뒷단추를 끼우기 힘들다.
회전근개파열
- 어깨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근육을 말하는 회전근개는 어깨를 움직일 때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과도하게 어깨를 사용하거나 외부에서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 혹은 퇴행성 변화를 겪을 경우 파열되거나 손상될 수 있습니다. 그 중 회전근개파열은 오십견과 증상이 비슷하며 이는 주로 과도한 스포츠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회전근개파열 원인
- 어깨 관절에서 발생한 퇴행성 변화
- 회전근개의 선천적 이상 및 발육 부진
- 회전근개의 혈액 순환 장애
- 어깨 관절의 지나친 사용
- 교통사고 등과 같은 강력한 외상 및 충격
회전근개파열 증상
- 어깨 통증과 함께 근력이 약해진다.
- 어깨가 결리고 삐걱거리는 소리가 난다.
- 팔을 위로 들어올릴 때 통증이 심해진다.
- 누워있을 때 통증이 심해진다.
- 어깨통증이 심해 잠을 이루기 어렵다.
- 팔을 들었을 때 지면과 평행을 이루기 어렵다.
손목터널증후군
- 손으로 가는 힘줄과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수근관이 여러 가지 원인으로 좁아져 정중신경이 과한 압력을 받고 이 때문에 통증과 저림, 감각 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주로 여성, 노인에게 자주 발생하며 40~60세 사이 중년 여성에게 흔히 발생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원인
- 수근관을 감싸고 있는 인대가 두꺼워진 경우
- 수근관 관절 주위의 골절 및 탈구
- 수근관 관절 주위에서 발생한 후유증이나 감염, 염증성 질환
- 손목에 가해진 강력한 외상 및 충격
- 수근관 내에서 발생한 종양으로 인한 압박
- 비만이나 당뇨병을 겪고 있는 경우
손목터널증후군 증상
- 손목 통증과 함께 손바닥이 저린다.
- 밤에 통증이 더 심해진다.
- 손 저림 증상과 감각 이상이 나타난다.
- 엄지근육이 약해지고 위축되는 느낌이 든다.
- 손목을 약 1~2분 정도 굽혔을 때 혹은 손목을 두드릴 때 저리다.
- 수면 시 손이 타는 것 같은 통증이 느껴진다.
건초염
- 손목 힘줄을 감싸고 있는 활액막이나 활액막 안쪽 공간에 염증이 발생해 충혈되고 부종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는 다른 말로 건막염 혹은 건의 활액막염이라고 부릅니다.
건초염 원인
- 퇴행성 변화로 인한 관절 내 마찰 증가
- 손목 힘줄의 손상
- 류마티스성 질환이 있는 경우
- 화농성이나 결핵성 질환 이 있는 경우
- 손목 관절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
건초염 증상
- 손목 관절이 붓고 저린 증상이 나타난다.
- 손목 관절 통증으로 움직이기 힘들다.
- 손목 관절에서 뼈가 부딪히는 소리가 난다.
- 엄지손가락을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해진다.
- 손가락과 손목 사이에 있는 움푹 패인 곳을 눌렀을 때 통증이 심하다.
- 손목을 아래로 꺾었을 때 엄지손가락과 손목 이어진 부분에서 통증이 느껴진다.
골프엘보
- 일명 골프엘보라고 불리는 이 질환의 정확한 진단명은 '내측상과염'으로 팔꿈치 안쪽에서 발생하는 통증을 일컫습니다. 이는 팔꿈치 안쪽 돌출된 부위인 팔꿈치 관절에서 흔히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 중 하나로 대개 30~50대에게 발생하며 남녀 발생 비율이 2:1 정도 입니다.
골프엘보 원인
- 팔과 팔꿈치를 많이 사용하는 직업을 가진 경우 ex) 요리사, 수영선수, 목수 등
- 컴퓨터를 오랜시간 사용하는 경우
- 장시간 동안 집안일을 하는 경우
- 갑작스럽게 팔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운동을 한 경우
골프엘보 증상
- 팔꿈치 안쪽에서 통증과 저림, 화끈거림이 나타난다.
- 손목까지 통증이 나타난다.
- 손잡이를 잡고 돌리는 동작을 할 때마다 통증이 나타난다.
- 주먹을 쥘 때 통증이 느껴진다.
- 물건을 밀거나 들 때 힘이 빠지고 통증이 심해진다.
- 손목을 굽혔을 때 팔꿈치 안쪽 튀어나온 부분이나 아래 부분을 눌렀을 때 통증이 심하게 느껴진다.
테니스엘보
- 일명 테니스엘보라고 불리는 이 질환의 정확한 진단명은 '외측상과염'으로 팔꿈치 바깥쪽 튀어나온 부위에 염증과 함께 통증이 발생한 것을 말합니다. 이는 테니스 백핸드 자세 중 팔꿈치에 가해지는 무리한 힘에 의해 발생한다고 하여 일반적으로 테니스엘보라고 하며 주로 손목이나 팔을 자주 사용하거나 팔꿈치에 강한 외상을 입었던 경험이 있는 분들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테니스엘보 원인
- 반복적으로 손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을 할 경우
- 팔꿈치 뼈 주위 인대에 강한 외상이 가해졌을 경우
- 팔꿈치 뼈 주위 인대에 퇴행성 변화가 발생했을 경우
테니스엘보 증상
- 팔꿈치 바깥쪽에서 통증이 느껴진다.
- 간혹 팔꿈치 바깥쪽에서 경직이 느껴지고 팔 힘이 빠진다.
- 손목을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해진다.
- 팔과 손목을 쓰는 모든 동작을 할 경우 통증이 나타난다.
- 팔꿈치 바깥쪽과 함께 손목까지 통증이 이어진다.
퇴행성관절염
- 퇴행성관절염은 뼈와 뼈 사이를 이어주며 그 사이에 가해지는 충격을 탄력적으로 흡수해주는 연골이 퇴행성 변화로 손상 및 염증이 일어나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는 관절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에 속합니다.
퇴행성관절염 원인
- 비만이나 퇴행성 변화가 찾아온 경우
- 무리한 관절 사용을 지속적으로 한 경우
- 관절 연골에 손상을 줄 수 있는 강력한 외상이나 충격이 가해진 경우
- 세균이나 결핵으로 관절 연골이 파괴된 경우
- 반복적인 외상이 가해진 경우
퇴행성관절염 증상

류마티스 관절염
- 류마티스 관절염은 원인을 알 수 없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다발성 관절염이 특징인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초기엔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활막에 염증이 발생하지만 이 증상이 점차 주위 연골과 뼈로 퍼져 관절을 파괴하고 변형을 초래합니다.
류마티스 관절염 원인
- 이는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자가면역현상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 유전적인 원인이나 세균, 바이러스 감염 등이 이 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스트레스, 폐경 역시 원인에 속합니다.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
- 발생 관절 부위가 붓고 통증이 나타난다.
- 관절을 움직이기 힘들다.
- 관절 통증과 함께 관절이 뻣뻣하다.
- 관절에 염증이나 종양으로 인해 종창이 생긴다.
- 식욕 부진과 함께 피로감이 느껴진다.
- 아침에 자고 일어나거나 오랜 시간 한 자세로 있는 경우 관절이 뻣뻣해지다가 시간이 지나면 움직임이 좋아진다.
좌골신경통
- 좌골신경통이란 궁둥뼈 신경이라고 불리는 좌골 신경에 압박이나 손상, 염증 등이 생겨 종아리, 발, 대퇴부 등에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좌골신경통 원인
- 과로 혹은 바르지 못한 자세
- 차가운 음식을 자주 먹거나 손과 발이 찬 경우
- 앉아 있는 시간이 긴 직업을 갖고 있는 경우
- 허리디스크, 당뇨병, 류머티즘 등과 같은 질환이 있는 경우
좌골신경통 증상
- 다리 저림과 함께 당김, 통증 등이 나타난다.
- 다리에 열감 혹은 냉감, 감각 이상 등이 나타난다.
- 엉덩이가 뻐근하게 아프고 쏘는 듯한 증상이 나타난다.
- 엉덩이부터 다리로 내려가면서 저리거나 화끈거린다.
- 허리를 구부릴 때 다리로 내려가는 통증이 심해지고 서 있을 경우 통증이 더 심해진다.
- 다리를 움직이거나 기침, 재채기 등을 할 때 통증이 더 심해진다.
- 다리 힘이 빠지거나 근력이 약해지며 발까지 화끈거린다.
턱관절디스크
- 턱관절디스크는 악관절 장애, 턱관절 장애라고 불리고 흔한 질환이지만 잘 모르고 지내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는 다양한 원인으로 턱관절의 배열이 틀어지거나 이를 감싸고 있는 근육이나 연골 디스크가 손상되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턱관절디스크 원인
- 잦은 스트레스와 긴장
- 턱에 가해진 강한 충격이나 외상
- 이를 악무는 습관이 있거나 한쪽으로만 음식을 씹는 경우
- 턱을 괴거나 엎드려 자는 습관이 있는 경우
- 부정교합, 사랑니 등 치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
- 척추를 틀어지게 하는 나쁜 자세가 습관인 경우
턱관절디스크 증상
- 입을 벌리고 다무는 것이 힘들다.
- 입을 벌릴 때마다 '딱'하는 소리가 나고 덜커덩 움직인다.
- 턱관절 부위가 뻐근하고 목, 어깨, 머리까지 결리고 뻣뻣해진다.
- 입을 크게 벌리면 다물기가 힘들다.
- 편두통이 있고 집중하기 힘들다.
- 휴식을 취해도 피로감이 사라지지 않는다.
- 현기증, 이명 등이 나타나고 입맛이 변했다.